기자별 뉴스보기
-

김현미 국토부 장관 면담 요구 농성
제주 제2공항 성산읍 반대대책위원회와 범도민행동 소속 10여 명은 김현미 국토부 장관의 면담을 요구하며 국회의원 회관에서 농성에 들어갔습니다. 이들은 제2공항 계획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인 절차적 투명성과 정당성 확보에 실패했다며 정부의 기본계획 절차 강행은 도민의 민의를 묵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
이소현 2019년 01월 10일 -

양배추 2천톤, 홍콩*대만 등 수출 추진
올해 과잉생산된 제주산 양배추가 홍콩 등지로 수출됩니다. 농협 제주본부는 최근 양배추 18톤을 홍콩으로 수출한데 이어 홍콩과 대만 등 동남아 국가로 제주사 양배추 2천톤을 수출할 계획입니다. 농협은 지난해 3천톤을 수출했던 일본이 생산량 증가로 수출길이 막히자 홍콩과 대만 등 동남아로 시장 다변화를 꾀하고 있...
이소현 2019년 01월 10일 -

원거리 조업 어선 기관실 관리 허술
원거리 조업 어선의 기관실 관리가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해양경찰청은 지난해 말 도내 항포구에 정박 중인 원거리 조업 어선 46척을 점검한 결과 기관실의 누유로 인한 화재 우려 등 144건의 지적사항을 확인하고 해당 선장에게 통보해 시정하도록 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4년간 원거리 조업을 하다 조난을 ...
이소현 2019년 01월 10일 -

(리포트) 동시 조합장 선거 '깜깜이 선거' 우려
◀ANC▶ 오는 3월13일 제2회 전국 동시 조합장 선거가 이뤄집니다. 공정하고 깨끗한 선거를 치르자며 4년 전부터 조합 단위로 이뤄지던 선거가 전국 동시 선거로 치러지고 있는데요. 선거운동이 매우 제한적이라 깜깜이 선거에 과열 혼탁 양상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END▶ ◀VC...
이소현 2019년 01월 09일 -

(리포트) 동시 조합장 선거 '깜깜이 선거' 우려
◀ANC▶ 오는 3월13일 제2회 전국 동시 조합장 선거가 이뤄집니다. 공정하고 깨끗한 선거를 치르자며 4년 전부터 조합 단위로 이뤄지던 선거가 전국 동시 선거로 치러지고 있는데요. 선거운동이 매우 제한적이라 깜깜이 선거에 과열 혼탁 양상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END▶ ◀VC...
이소현 2019년 01월 08일 -

도내 학교 316곳, 2천여 대 공기청정기 보급
도내 유치원과 초등학교 모든 교실에 공기청정기가 보급됐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2천17년부터 도내 유치원과 초등학교, 특수학교에 공기청정기 2천300여 대를 보급했다고 밝혔습니다. 도교육청은 중고교 보건실에도 공기청정기를 보급한 상태로, 올해 안에 중고교 모든 교실에도 공기청정기 천400대를 보급할 예정입니다.
이소현 2019년 01월 08일 -

제주도선관위,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입후보설명회 개최
제주도선관위가 오는 11일부터 제2회 전국 동시 조합장선거의 입후보 안내 설명회를 개최합니다. 설명회는 제주시 선관위는 오는 11일 도선관위에서, 서귀포시 선관위는 18일 서귀포시청 제2청사 대강당에서 열리며, 조합장 선거 후보 자격과 후보등록 서류 작성 방법, 선거운동방법 등 선거 과정 전반을 안내합니다.
이소현 2019년 01월 08일 -

도내 학교 316곳, 2천여 대 공기청정기 보급
도내 유치원과 초등학교 모든 교실에 공기청정기가 보급됐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2천17년부터 도내 유치원과 초등학교, 특수학교에 공기청정기 2천300여 대를 보급했다고 밝혔습니다. 도교육청은 중고교 보건실에도 공기청정기를 보급한 상태로, 올해 안에 중고교 모든 교실에도 공기청정기 천400대를 보급할 예정입니다.
이소현 2019년 01월 07일 -

제주도선관위,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입후보설명회 개최
제주도선관위가 오는 11일부터 제2회 전국 동시 조합장선거의 입후보 안내 설명회를 개최합니다. 설명회는 제주시 선관위는 오는 11일 도선관위에서, 서귀포시 선관위는 18일 서귀포시청 제2청사 대강당에서 열리며, 조합장 선거 후보 자격과 후보등록 서류 작성 방법, 선거운동방법 등 선거 과정 전반을 안내합니다.
이소현 2019년 01월 07일 -

(리포트) 월동채소 과잉 생산.. 농민 울상
◀ANC▶ 제주의 대표 월동채소인 무와 양배추 가격이 심상치 않습니다. 작황이 좋아 풍년은 맞았지만 과잉 생산에 소비위축까지 겹치면서, 처리난이 우려됩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END▶ ◀VCR▶ 지난 여름에 파종한 무를 수확하느라 농민들의 손길이 분주합니다. 작황도 좋고 풍년을 맞았지만, 마음은 무겁기만 합...
이소현 2019년 01월 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