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농작물 언 피해 발생..사후 관리 당부
폭설과 한파로제주 전 지역이 영하권에 들면서농작물 언 피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제주도 농업기술원은아직 수확하지 않은 무와 양배추,브로콜리와 콜라비 등 월동채소와 난방시설이 없는 시설 감귤류 등에언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며눈이 녹은 뒤에는습기로 인한 병해충 예방을 위해배수로를 정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또 ...
이소현 2024년 01월 24일 -

'오월의 걸상' X자 모양 낙서 발견..경찰 수사
제주4.3과 5.18민주화운동을 함께 기억하기 위해 조성된 오월의 걸상 조형물에 낙서가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서귀포시는지난 19일, 조형물 벽면 등에 엑스자 모양의 낙서가 다수 발견돼 경찰에 신고했다고 밝혔습니다. CCTV에는 당일 새벽 2시쯤중년 남성이 낙설를 하는 장면이 촬영됐으며근처에서는 구두약이 ...
이소현 2024년 01월 24일 -

농작물 언 피해 발생..사후 관리 당부
폭설과 한파로제주 전 지역이 영하권에 들면서농작물 언 피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제주도 농업기술원은아직 수확하지 않은 무와 양배추,브로콜리와 콜라비 등 월동채소와 난방시설이 없는 시설 감귤류 등에언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며눈이 녹은 뒤에는습기로 인한 병해충 예방을 위해배수로를 정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또 ...
이소현 2024년 01월 23일 -

'오월의 걸상' X자 모양 낙서 발견..경찰 수사
제주4.3과 5.18민주화운동을 함께 기억하기 위해 조성된 오월의 걸상 조형물에 낙서가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서귀포시는지난 19일, 조형물 벽면 등에 엑스자 모양의 낙서가 다수 발견돼 경찰에 신고했다고 밝혔습니다. CCTV에는 당일 새벽 2시쯤중년 남성이 낙설를 하는 장면이 촬영됐으며근처에서는 구두약이 ...
이소현 2024년 01월 23일 -

(아침) 제주도 택배 추가 배송비 본격 지원
섬지역 택배 추가 배송비가앞으로 1년 내내 지원됩니다. 해양수산부는육지보다 높은 요금을 내야 하는부담을 줄이기 위해제주를 비롯한 섬 주민을 대상으로택배 추가 배송비를 연중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추가 배송비 지원은 1인당 연간 최대 40만 원이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서와 택배 이용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
이소현 2024년 01월 23일 -

폐그물 걸린 남방큰돌고래 새끼 '이상 행동' 관
폐그물이 걸린 남방큰돌고래 새끼가이상 행동을 보여 구조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제주대학교 돌고래 연구팀 등은 어제(21일) 낮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서 관측된새끼 돌고래가 동물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나는 정형 행동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김병엽 교수는 입과 꼬리에 걸린 폐그물로 인해 허...
이소현 2024년 01월 23일 -

"올해 130개 스포츠대회..1천600억 경제 효
올해 각종 스포츠 대회 유치로 천억 원이 넘는 지역 경제 파급효과가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다음 주 전국 태권도 대회를 시작으로야구와 수영, 테니스 등올해 제주에서 열리는 130개 스포츠 대회와 행사를 통해 천623억 원의 지역 경제 파급효과를예측했습니다. 한편, 올해 각종 스포츠 대회...
이소현 2024년 01월 22일 -

폐그물 걸린 남방큰돌고래 새끼 '이상 행동' 관
폐그물이 걸린 남방큰돌고래 새끼가이상 행동을 보여 구조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제주대학교 돌고래 연구팀 등은 어제(21일) 낮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서 관측된새끼 돌고래가 동물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나는 정형 행동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김병엽 교수는 입과 꼬리에 걸린 폐그물로 인해 허...
이소현 2024년 01월 22일 -

제주도 택배 추가 배송비 본격 지원
섬지역 택배 추가 배송비가오늘(22일)부터 본격적으로 지원됩니다. 해양수산부는요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주를 비롯한 섬 주민을 대상으로택배 추가 배송비를 연중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추가 배송비 지원은 1인당 연간 최대 40만 원이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서와 택배 이용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됩니다.해수부는...
이소현 2024년 01월 22일 -

4·3희생자 추가 결정..1956년 희생자 첫
제주도민 3천여 명이4.3 희생자로 추가 인정됐습니다.국무총리실 산하 4.3중앙위원회는제33차 회의를 열고4.3 당시 직접 피해를 입은 당사자 54명과 유족 3천여 명 등 모두 3,240명에 대해추가 희생자로 결정했습니다. 특히 이번 결정자 가운데1956년, 남원읍 들판에서 수류탄이 폭발해 숨진 어린이 2명이 포함됐는데, 제주...
이소현 2024년 01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