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 한천 철거..380억 원 투
제주시 한천 복개구간이 30년 만에 철거 수순에 들어갑니다. 제주시는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로 지정된한천 복개구조물을 올해 상반기에 철거하고,한천 양쪽에 구조물을 만들어 차량을 통행하게 하며태풍에 대비해 물길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한천 재해위험개선 지구 정비사업에 380억 원,용역교 확장 등에 18억 원이 투입되...
이소현 2024년 01월 16일 -

소비 외면 '제주 월동 무'..또 산지 폐기
◀ 앵 커 ▶겨울에 수확하는 제주 월동 무는 채소가 귀한 시기에 나 인기가 많았었는데요. 하지만 최근에는 소비 부진에가격이 생산비도 못 건질 수준까지 떨어지자농민들이 수확 전에 밭을 통째로 갈아엎는 산지폐기에 나섰습니다.이소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월동 무 주산지인 제주 동부 지역.트랙터들이 지나가며밭을 통...
이소현 2024년 01월 15일 -

제주 골프장 이용객 1년 새 40만 명 감소
제주 지역 골프장 이용객이1년 새 40만 명 넘게 줄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지난해 도내 29개 골프장 이용객은 241만 5천여 명으로 재작년보다 14.3%인 40만 4천여 명이 감소했습니다. 특히, 도민은 1.9% 줄어든 반면관광객이 21.4% 줄었는데, 해외여행이 재개되면서 골프 관광객들이 제주 대신 해외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
이소현 2024년 01월 12일 -

한국은행, 설 특별자금 50억 대출 지원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도내 중소기업에 50억 원 규모의 설 특별 자금을 지원합니다.지원 대상은금융기관에 신규 대출을 신청한 중소기업으로 오는 15일부터 다음달 8일까지 신청 가능하며, 업체당 최대 2억 원 한도에서1년 동안 지원되는 저금리 대출입니다. 자금 지원 대출 신청을 받은 거래은행이한국은행에 자금을 신청하...
이소현 2024년 01월 11일 -

청년 비율 격차 심각..연동 31%·중앙동 16%
서귀포지역의 청년 부족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지난해 말 기준제주지역 청년은 15만 8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23.5%를 차지했는데, 제주시가 24.7%인 반면서귀포시는 20%에 그쳤습니다. 특히 행정구역별로는 제주시 연동이 31%, 아라동이 29.3%로 30% 안팎이었는데, 서귀포시 중앙동과 대...
이소현 2024년 01월 11일 -

제주 미분양 '위험 발생 단계'
◀ 앵 커 ▶지난 한 해 동안 제주에서 분양이 안 된 주택이 2천500호가 넘었습니다. 최근 20년 동안 한 해 평균 540호에서 갑자기 4배 넘게 뛴 건데요. 국토연구원이 제주를 전국에서 유일하게 위험 발생 단계로 분류하고투자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시 동 지역의 한 신규 아파트.2년 전 사...
이소현 2024년 01월 10일 -

화산송이 불법 거래 여전.."단속 안해요&qu
◀ 앵 커 ▶화산 분출로 만들어진 화산송이는 제주의 보존자원으로 특별법에 따라 엄격히 관리되고 있는데요. 그런데 특이한 모양으로 조경이나 인테리어에 자주 사용되면서불법 거래가 버젓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고 거래 앱에서 활발히 거래가 되고 있는 제주 화산송이. 포대별 다양한 가격...
이소현 2024년 01월 10일 -

(아침) AI 기반 '딥페이크' 선거 운동 금지
인공지능으로 이미지를 실제처럼 합성하는 '딥페이크' 선거운동이내일부터 금지됩니다. 제주도 선거관리위원회는선거일 90일 전인 내일부터딥페이크 영상을 제작하거나 편집,또는 유포하거나 게시할 수 없으며이를 어길 경우최대 7년 이하의 징역이나 최대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선관위는AI 모니터링 전담 ...
이소현 2024년 01월 10일 -

화산송이 불법 거래 여전.."단속 안 해요"
◀ 앵 커 ▶화산 분출로 만들어진 화산송이는 제주의 보존자원으로 특별법에 따라 엄격히 관리되고 있는데요. 그런데 특이한 모양으로 조경이나 인테리어에 자주 사용되면서불법 거래가 버젓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고 거래 앱에서 활발히 거래가 되고 있는 제주 화산송이. 포대별 다양한 가격...
이소현 2024년 01월 09일 -

제주4·3평화재단, 4·3연좌제 피해
제주 4.3평화재단이4.3추가 진상조사를 위해다음 달 말까지 4.3 연좌제 피해 사례 제보를 받습니다. 4.3과 관련해채용과 입학시험, 승진 불이익을 비롯해일상생활 감시 등 연좌제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사람들은 누구나 제보할 수 있습니다. 이번 제보 접수는2021년 전면 개정된 4.3특별법에 따라정부 차원에서 실시하고 ...
이소현 2024년 01월 0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