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아침)오영훈 지사 "성범죄 무관용 일벌백
오영훈 도지사가 새해 조직문화 혁신을 강조하며 성범죄 무관용 원칙을 밝혔습니다. 오 지사는어제 도청 한라홀에서 열린새해 첫 정책 공유회의 자리에서최근 도내 학교 화장실에서 발생한불법 촬영 사건이 국민적 공분을 일으켰다며,성범죄에 대해서는 협조체계를 구축해 범죄 발생률을 낮추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성인...
이소현 2024년 01월 09일 -

제주4·3평화재단, 4·3연좌제 피해
제주 4.3평화재단이4.3추가 진상조사를 위해다음 달 말까지 4.3 연좌제 피해 사례 제보를 받습니다. 4.3과 관련해채용과 입학시험, 승진 불이익을 비롯해일상생활 감시 등 연좌제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사람들은 누구나 제보할 수 있습니다. 이번 제보 접수는2021년 전면 개정된 4.3특별법에 따라정부 차원에서 실시하고 ...
이소현 2024년 01월 08일 -

제주 헌혈 4만 7천명..전국 유일 목표 달성
제주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헌혈 목표를 초과 달성했습니다. 대한적십자사 제주도혈액원은지난해 4만 7천여 명이 헌혈에 참여해목표치보다 268명 더 많았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재작년 문을 연 서귀포센터에서 1년 전보다 2.5배 늘어난 5천500여 명이 헌혈했는데, 지난해 헌혈 목표를 달성한 곳은전국에서 제주가 유일합니...
이소현 2024년 01월 08일 -

반달가슴곰 13일부터 무료 관람
제주로 이송된국제적 멸종 위기종인 반달가슴곰들이오는 13일 탐방객에게 공개됩니다. 제주자연생태공원은반달가슴곰 4마리가 제주로 옮겨진 뒤 건강 상태에 이상이 없고안정화 기간을 거쳤다며 4마리 모두를 공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개방 시간은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이며반달가슴곰 생태관 2층 옥상에서무료로 관...
이소현 2024년 01월 06일 -

돌담 쌓기 교육 '인기'
◀ 앵 커 ▶제주 돌담이 제주다움의 상징이 되면서 건축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데요. 반면 쉽지 않은 기술에 전문 인력은 적고, 임금도 비싸다 보니 최근 돌담 쌓기를 배우려는 사람이늘고 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신축 펜션 건물의 울타리. 제주 현무암이 차곡차곡 쌓여 경계를 이룹니다. 돌의 모난 부분...
이소현 2024년 01월 05일 -

심의위원이 업체에 부고 알림?
◀ 앵 커 ▶제주에서 이뤄지는 대규모 개발사업은 제주도 도시계획심의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 합니다.심의 결과에 따라 예산이 바뀌고 사업 추진 여부까지 결정되다 보니업체들은 심의위원회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데요.그런데 최근 한 심의위원이 업체들에게 부고 알림을 발송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이소현 2024년 01월 05일 -

불법광고물 120만 건 '수거보상제'로 처리
지난해 수거 보상제를 통해 100만 건이 넘는 불법광고물이 수거됐습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는지난해 수거 보상 제도를 통해 현수막과 벽보 등 불법 광고물 123만 6천여 건이 처리하고보상금 3천900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수거 보상 제도는불법 벽보와 명함을 수거해가면 한장 당 20원에서 50원의 보상금을 주는 제도로신청...
이소현 2024년 01월 05일 -

심의위원이 업체에 부고 알림?
◀ 앵 커 ▶제주에서 이뤄지는 대규모 개발사업은 제주도 도시계획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 합니다.심의 결과에 따라 예산이 바뀌고 사업 추진 여부까지 결정되다 보니관련업체들은 심의위원회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데요.그런데 최근 한 심의위원이 업체들에게 장인의 부고 알림을 발송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소...
이소현 2024년 01월 04일 -

미승인 드론, 제주공항 '안티 드론'에 덜미
제주공항 근처에서 허가를 받지 않고 비행한 드론이 공항 감시 시스템에 적발됐습니다.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은지난달 27일 오전종합상황실에 설치된 안티 드론 시스템에미승인 드론이 탐지돼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근처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조감도 촬영을 위해 띄운 것으로 밝혀졌는데, 업체에는 과태료...
이소현 2024년 01월 04일 -

한라산 구상나무 고사 원인 조사 확대
한라산 구상나무의 고사 원인을 찾는 연구가 확대됩니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한라산 구상나무의 쇠퇴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전염성 여부와생존 위협의 수준 분석 등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라산 구상나무는2021년 기준 29만 4천 그루로,4년 전보다 만3천 그루가 줄었으며잎녹병 등 10종의 병해가 있...
이소현 2024년 01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