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재일제주인 공헌자의 밤 행사 열려
재일제주인 공헌자의 밤 행사가 어제(10/24) 저녁, 일본 도쿄 팔레스호텔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재일본 관동도민협회 임원과 공헌자 후손 등 50여 명이 참석해 고향 발전에 기여한 재일제주인들의 노고를 기렸습니다. 행사에 참석한 오영훈 지사도 재일제주인들에게 감사를 표하고, 일본에 있는 4.3희생자 유족 ...
홍수현 2022년 10월 25일 -

크루즈 여행객 입국 허용…관광 정상화 기대
크루즈선을 통한 여행객의 국내 입국이 허용되면서, 제주 크루즈 관광 정상화 기대도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오늘(10/24)부터 크루즈선을 통한 여행객의 국내 입국과 하선 관광을 허용하면서 제주도와 관련업계의 제주 기항과 관광 프로그램 기획, 홍보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관광 목적의 크루즈선 국내 입항은 ...
홍수현 2022년 10월 25일 -

한라산 단풍 절정
한라산 단풍이 절정을 이루고 있습니다. 제주지방기상청은 지난 18일, 올 가을 한라산 첫 단풍이 관측된 지 6일 만에 절정을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단풍 절정은 지난해보다 9일, 평년보다는 4일 빠른 것으로, 기상청은 관측 지점인 어리목의 이달 평균기온이 작년보다 4.3도 낮아, 예상보다 일찍 단풍이 절정을 맞았...
홍수현 2022년 10월 24일 -

한국국제학교 교실 증축계획 철회
제주영어교육도시 공립 국제학교인 한국국제학교가 초등 부속시설 증축 계획을 제주학생 10% 특례와 경비 지원에 따른 재정 부담을 이유로 철회하겠다는 공문을 제주도교육청에 보냈습니다. 한국국제학교는 예산 65억 원을 들여 초등 교실과 음악, 미술실 등을 증축할 계획이었는데,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가 증축안을 처...
홍수현 2022년 10월 24일 -

한국국제학교 교실 증축계획 철회
제주영어교육도시 공립 국제학교인 한국국제학교가 초등 부속시설 증축 계획을 제주학생 10% 특례와 경비 지원에 따른 재정 부담을 이유로 철회하겠다는 공문을 제주도교육청에 보냈습니다. 한국국제학교는 예산 65억 원을 들여 초등 교실과 음악, 미술실 등을 증축할 계획이었는데,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가 증축안을 처...
홍수현 2022년 10월 23일 -

삼다수 횡령 가담 개발공사 전 직원들 벌금형
삼다수 횡령에 가담한 제주도개발공사 전 직원들에게 벌금형이 내려졌습니다. 제주지방법원 형사2단독 강민수 판사는 업무상 횡령 혐의로 기소된 제주도개발공사 전 직원 4명에게 각각 벌금 50만 원에서 1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 이들은 지난 2020년 6월부터 지난해 5월 사이 불량제품을 강제 출고 시키는 방식으로 삼다...
홍수현 2022년 10월 21일 -

서귀포시 사계항 어촌뉴딜사업 기본계획 심의 통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항 어촌뉴딜사업이 기본계획 심의를 통과했습니다. 서귀포시는 올해 해양수산부 주관 어촌뉴딜300 사업에 선정된 안덕면 사계항의 기본계획이 심의를 통과해 연말까지 사업을 고시하고 내년부터 남방파제 연장과 수산물직매장 설립 등을 위한 본격적인 설계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함께 심의된 ...
홍수현 2022년 10월 21일 -

제주에서도 '카카오 먹통' 피해 신고 100여 건
'카카오 먹통' 사태와 관련해 제주에서도 100건이 넘는 소상공인 피해신고가 접수됐습니다. 제주도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17일부터 카카오 마비 사태에 따른 소상공인 피해 접수센터를 운영해 지금까지 피해신고 120여 건이 접수됐다고 밝혔습니다. 신고 내용별로는 카카오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지난 15일과 16일, 카카...
홍수현 2022년 10월 20일 -

4.3희생자 보상금 지급 속도
제주4.3희생자 보상금 지급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국회의원은 행정안전부 과거사관련 업무지원단 산하 4.3사건처리과가 4.3희생자 보상심의분과위원회를 수시로 열고, 제주도로부터 공무원 인력을 추가로 파견받아 확충하겠다고 전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올해 지급 결정 연기로 불용 예산이 ...
홍수현 2022년 10월 20일 -

2030년 대정·한경 제외 농업용수 부족
오는 20130년, 농업용수 부족 현상이 심각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제주도 수자원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30년 1일 농업용수 수요량은 134만 톤인데 비해 공급 가능량은 125만 4천 톤에 그쳐 8만 6천 톤 가량이 부족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 한경면과 서귀포시 대정읍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홍수현 2022년 10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