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도의회 거리두기 2단계 격상 제안
제주도의회가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을제주도에 제안했습니다. 제주도의회 의원 일동은 보도자료를 통해어제 하루 11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발생하는 등 위기에 처했다며,제주도에 비상대책기구를 만들고현재 1.5단계인 거리두기 격상을고민하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연말연시 행사에 대한 정확한 지침을 마련하고, 사회복지...
홍수현 2020년 12월 10일 -

타 지역 대입전형 수험생 무료 진단검사
논술과 면접 등 대학 입학 전형을 위해 다른지방을 방문하는 도내 수험생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무료 진단검사가 이뤄집니다. 제주도는 내일(12/11)부터 연말까지 대입 전형을 위해 다른 지역을 방문한 뒤 돌아온 수험생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무료 진단검사를 시행합니다. 대상은 주민등록 거주지가 제주도이고 14...
홍수현 2020년 12월 10일 -

(투데이)수도권지역 가금산물 반입 금지
조류 인플루엔자가 전국 각지로 확산되면서, 수도권과 충북지역의 가금 생산물 반입이 금지됩니다. 제주도는 경기도 여주의 산란계 농가에서 H5N8형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함에 따라, 어제 수도권 전 지역의 가금생산물 반입을 금지한데 이어 오늘부터는 충북지역 생산물도 반입금지합니다. 제주도는 지난 달 30일, 조류 ...
홍수현 2020년 12월 09일 -

탐나는전 발행에 제주사랑상품권 사용 혼란
지역화폐 탐나는전 발행으로 일부 시중에서 제주사랑상품권 사용에 혼란이 일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지난 달 30일, 탐나는전 발행과 함께 제주도상인연합회가 발행하는 제주사랑상품권 판매를 중단하고, 사용은 내년까지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통시장 등에서는 제주사랑상품권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
홍수현 2020년 12월 09일 -

오늘부터 수도권지역 가금산물 반입 금지
조류 인플루엔자가 전국 각지로 확산되면서, 수도권과 충북지역의 가금 생산물 반입이 금지됩니다. 제주도는 경기도 여주의 산란계 농가에서 H5N8형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함에 따라, 오늘부터 수도권 전 지역의 가금생산물 반입을 금지한데 이어 내일부터는 충북지역 생산물도 반입금지합니다. 제주도는 지난 달 30일, ...
홍수현 2020년 12월 08일 -

탐나는전 발행에 제주사랑상품권 사용 혼란
지역화폐 탐나는전 발행으로 일부 시중에서 제주사랑상품권 사용에 혼란이 일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지난 달 30일, 탐나는전 발행과 함께 제주도상인연합회가 발행하는 제주사랑상품권 판매를 중단하고, 사용은 내년까지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통시장 등에서는 제주사랑상품권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
홍수현 2020년 12월 08일 -

제주 87번 확진자 발생..격리 중 확진
제주지역 코로나19 87번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87번 확진자 A씨는 지난 달 25일 코로나19 검체 검사를 받고 제주에 온 서울지역 확진자 B씨와 함께 입도했으며 같은날 오후 B씨가 확진 판정을 받자, 도내 시설에서 격리되다 확진 판정됐습니다. 한편 제주 코로나19 63번 확진자가 오늘 입원 19일만에 퇴...
홍수현 2020년 12월 04일 -

제주 83, 84, 85번 확진자 잇달아 발생
제주지역에 3명이 코로나19에 추가 확진돼 어제 하루 4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인천에서 제주에 와 확진된 82번 환자에 이어 한 달 살기로 제주에서 지내던 A씨가 의심 증세를 보여 검사를 받은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또 경남 진주시 이.통장단과 관련해 확진된 73번과 74번 확진자의 접촉자...
홍수현 2020년 12월 02일 -

특수배송비 합리적 제도마련 촉구 국민청원
제주도는 제주녹색소비자연대와 제주도를 포함한 도서지역의 택배 특수배송비에 대한 합리적인 제도마련을 촉구하기 위해 이달 안에 청와대와 국회에 국민청원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국민청원은 제주녹색소비자연대가 중심이 돼 추진하며 도서지역 주민들의 특수배송비 부담에 대한 제도개선 필요성을 요구하고 정부의 ...
홍수현 2020년 12월 02일 -

키위 점무늬병 국내 미기록 원인균 확인
도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키위에 발병하는 점무늬병 원인균이 국내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키위 점무늬병에 대한 연구를 통해 코리네스포라 카시코라 등 2종의 국내 미기록 원인균을 확인하고, 방제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병원균은 발병하면 조기에 잎이 떨어져 키위 품질이 저하되...
홍수현 2020년 12월 0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