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서귀포시 장애인한마음축제 열려
서귀포시 장애인한마음축제가 오늘, 서귀포시 강정동 올림픽기념 국민생활관에서 열렸습니다. 장애학교와 특수학급 학생, 자원봉사자 등 60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서는 장애를 극복한 장애인과 복지증진에 기여한 유공자 18명에게 표창장과 감사패를 수여하고, 건강마당과 장기자랑 등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
홍수현 2013년 04월 12일 -

서귀포시, 26일 도민체전 개막 준비
서귀포시는 제47회 제주도민체육대회가 오는 26일부터 사흘동안 서귀포시 일원에서 개최됨에 따라, 자원봉사자 모집과 교육, 주경기장 등 보수공사를 마무리하고 개막식 준비 점검에 들어갔습니다. 이번 도민체전은 서귀포지역 70여 개 경기장에서 56종목의 경기가 펼쳐지며, 선수단은 만7천여 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
홍수현 2013년 04월 11일 -

서귀포시, 26일 도민체전 개막 준비
서귀포시는 제47회 제주도민체육대회가 오는 26일부터 사흘동안 서귀포시 일원에서 개최됨에 따라, 자원봉사자 모집과 교육, 주경기장 등 보수공사를 마무리하고 개막식 준비 점검에 들어갔습니다. 이번 도민체전은 서귀포지역 70여 개 경기장에서 56종목의 경기가 펼쳐지며, 선수단은 만7천여 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
홍수현 2013년 04월 11일 -

(리포트) 황칠나무, 향토산업 소재 주목
◀ANC▶ 서귀포시의 황칠나무와 고등어 가공사업이 올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하는 향토산업 육성사업의 예비 지원대상으로 선정됐는데요, 제주에 자생하는 황칠나무가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의 소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홍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황칠나무 자생지인 서귀포시 남원읍의 한 임야입...
홍수현 2013년 04월 10일 -

(리포트) 황칠나무, 향토산업 소재 주목
◀ANC▶ 서귀포시의 황칠나무와 고등어 가공사업이 올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하는 향토산업 육성사업의 예비 지원대상으로 선정됐는데요, 제주에 자생하는 황칠나무가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의 소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홍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황칠나무 자생지인 서귀포시 남원읍의 한 임야입...
홍수현 2013년 04월 10일 -

(리포트) 책읽기로 감성여행
◀ANC▶ 최근 여행을 하며 책을 읽는 감성 치유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이런 유행을 타고 제주도 올레길 곳곳에 작은 도서관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서귀포시 올레 7코스에 있는 한 게스트하우스. 휴게실 한 켠에 작은 도서관을 꾸미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책장 가득 책을 채...
홍수현 2013년 04월 09일 -

(리포트) 책읽기로 감성여행
◀ANC▶ 최근 여행을 하며 책을 읽는 감성 치유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이런 유행을 타고 제주도 올레길 곳곳에 작은 도서관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서귀포시 올레 7코스에 있는 한 게스트하우스. 휴게실 한 켠에 작은 도서관을 꾸미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책장 가득 책을 채...
홍수현 2013년 04월 09일 -

서귀포시 해수욕장 일제정비
서귀포시는 중문과 표선, 화순 등 서귀포지역내 해수욕장 5곳을 정비합니다. 6월까지 추진될 정비사업을 앞두고 마을별로 관리운영 회의를 열고, 탈의실과 샤워장 보수, 해파리 차단 그물망 등을 설치할 계획입니다. 2천10년 이후 해마다 줄던 서귀포시 해수욕장 이용객은 지난해 사상 최대인 105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홍수현 2013년 04월 08일 -

식중독 사고예방 일제 점검
서귀포시는 최근 전북에서 발생한 집단 식중독 사고와 관련해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한 점검을 벌입니다. 봄 나들이와 수학여행철을 맞아 청소년 수련시설과 도시락 제조업소 등을 대상으로 실시합니다. 대상업소는 도시락, 김밥제조 업소 8곳과 청소년수련시설 1곳 등으로 식재료 보관과 조리 위생상태 등을 중점 점검할 ...
홍수현 2013년 04월 08일 -

서귀포시 해수욕장 일제정비
서귀포시는 중문과 표선, 화순 등 서귀포지역내 해수욕장 5곳을 정비합니다. 6월까지 추진될 정비사업을 앞두고 마을별로 관리운영 회의를 열고, 탈의실과 샤워장 보수, 해파리 차단 그물망 등을 설치할 계획입니다. 2천10년 이후 해마다 줄던 서귀포시 해수욕장 이용객은 지난해 사상 최대인 105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홍수현 2013년 04월 0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