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박찬대 제주 방문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선거에 나선 박찬대 후보가 제주를 찾았습니다. 다음 달 2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제주를 방문한 박 후보는 제주4·3평화공원을 참배해 유족들을 만나고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당사를 찾아 당직자와 당원들을 만났습니다. 박 후보는 간담회 자리에서 우리 당의 주인은 권리 당원이라는 것이 확실히 증명...
이따끔 2025년 07월 30일 -
행정체제개편 도지사-정당대표 정책협의회 제안
진보당 제주도당이 제주도 기초지자체와 기초의회 부활을 위해 도지사와 각 정당대표의 정책협의회를 제안했습니다. 이들은 제주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도 기초지자체와 기초의회 도입은 도지사와 여당의 전유물이 아니라며, 더 나은 민주주의를 위해 도민과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 정당이 함께 풀어야 할 과...
이따끔 2025년 07월 30일 -
푸른우산관해파리 확산‥"대량 번식 우려"
◀ 앵 커 ▶ 최근 제주 바다에서 파랗고 동그란 모양의 해파리 떼가 출현해 수거 작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약한 독성의 푸른우산관해파리인데, 제주 바다에서 대량 번식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따끔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바다 위를 뒤덮은 동그란 물체. 파란 촉수가 달린 푸른우산관해파리입니다. 최근 제주 ...
이따끔 2025년 07월 29일 -
"지하수 보전 정책 후퇴‥도의회 부동의 해야"
제주도가 허용한 한진그룹의 먹는샘물용 지하수 증산에 대해 시민단체들이 반발했습니다. 제주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영훈 도정의 증산 허용은 지하수 보전 정책의 후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제주도의회는 지하수 증산을 부동의해 한진그룹의 지하수 개발 연정하거를 불허하라고 촉구했습니...
이따끔 2025년 07월 29일 -
제2동물보호센터 애월읍서 10월부터 운영
제주의 두번째 동물보호센터가 제주시 애월읍에 생깁니다. 애월읍 어음2리에 들어서는 제2동물보호센터는 999㎡ 규모로 최대 300마리의 반려동물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또, 유기동물 보호실과 진료실, 입원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오는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한편, 지난해 제주에서 발생한 유기동물은 ...
이따끔 2025년 07월 29일 -
제주도, 4・3역사기념관 4・3유적지 정비
도내 4・3역사기념관과 4・3유적지가 새롭게 정비됩니다. 제주도는 올해 22억 6천만 원을 들여 너븐숭이4·3기념관과 중문4·3기념관, 주정공장수용소 4·3역사관 등 기념관 3곳의 전시물과 관람 공간을 정비할 계획입니다. 또 추모객들의 편의를 위해 4·3유적지와 학살터 주변에 그늘쉼터와 주차장을 조성할 예정인데, 빠르...
이따끔 2025년 07월 28일 -
박찬대, "제2공항 건설 해결방안 모색할 것"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선거에 나선 박찬대 후보가 제주 제2공항 건설과 관련한 갈등을 해소를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 다음 달 2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제주 지역 맞춤형 공약을 발표한 박 후보는 제2공항 문제는 환경 파괴와 과잉 인프라, 입지 등의 문제로 도내 최대 갈등 현안이라며 합리적 해결방안 모색하겠다고 밝혔습...
이따끔 2025년 07월 28일 -
제주 축산 조수입 4% 증가‥양돈산업은 소폭 하락
지난해 제주지역 축산 조수입이 1조 3천887억 원으로 재작년보다 4% 증가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축산물 생산과 거래량 증가로 한우산업 수입은 897억 원으로 재작년보다 12.6% 늘었고 낙농산업은 372억 원으로 26.6% 증가했습니다. 반면 양돈산업은 양돈 가격 하락으로 재작년보다 2% 감소한 4천593억 원을 기록했고...
이따끔 2025년 07월 28일 -
2025년 제주경제 발전을 위한 도민토론회
새 정부 경제정책에 맞춰 제주는 관광 산업 육성과 중소벤처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메종글래드 컨벤션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이동진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 전문위원은 현 정부의 성장전략 핵심은 생산성을 올리는 것이라며 제주도가 추진하는 관광산업 육성과 중소벤처 혁신이 새정부 철학과 부...
이따끔 2025년 07월 28일 -
제주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률 73.4%
제주도민 10명 중 7명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신청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오늘 새벽 0시 기준 소비쿠폰 지급대상자 66만 천여 명 가운데 73.4%가 신청을 마쳤습니다. 신청 방식으로는 신용이나 체크카드 신청이 65.2%로 가장 많았고, 탐나는전이 34.8%로 나타났는데, 지역화폐 신청률이 전국 평균보다 10% 포인트 더 높...
이따끔 2025년 07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