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원도심 중심상권 칠성로 점포 25% 비었다
제주시 원도심의 중심 상권인 칠성로 상점가에서 4곳 중에 1곳은 비어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주도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칠성로 1가부터 4가 아케이드까지 60여 개 건물을 조사한 결과 310개 점포 가운데 24.8%인 77곳이 공실이었습니다. 특히, 칠성로 우체국 방면 상점가는 공실률이 38%로 가장 높았는데, 도시재생지...
이소현 2024년 07월 19일 -
MS 장애에 제주공항도 혼잡..일부 시스템 '먹통'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로 제주공항에서도 큰 혼잡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서비스 장애로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예약 시스템 운영에 차질이 생겼고, 오후 3시부터 두 항공사의 자동 발권과 예약이 중단됐습니다. 때문에 승객들이 현장에서 두 세시간 기다리며 긴 줄을 섰고, 공항 직원들이 직접 ...
이소현 2024년 07월 19일 -
제주항에 연산호가?‥"올해 급속도로 번져"
◀ 앵 커 ▶서귀포 연안에 주로 서식하던 연산호가바다 수온 상승으로제주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는데요.제주 북쪽안 제주항에서도연산호 군락이 빠르게 번지면서얕은 수심에서 무더기로 관측되고 있습니다.제보는MBC, 이소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항 국제여객터미널 부근 방파제.물 속 테트라포드 곳곳에물감을 푼 듯 분...
이소현 2024년 07월 18일 -
여름 휴가철 모기 매개 감염병 주의
해외여행이 늘어나는 여름 휴가철을 맞아모기 매개 감염병에 대한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제주도는올해 전국적으로 말라리아와 뎅기열 등모기 매개 감연 사례가 300건 넘게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아직까지 제주에서는 발생된 사례가보고되지는 않았지만,해외를 다녀와 2주 안에 발열과 근육통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이소현 2024년 07월 18일 -
제주 10개 해수욕장 파라솔 요금 '2만 원'
제주지역 10개 해수욕장의 파라솔 요금이 2만 원으로 낮춰졌습니다. 제주도는관광 이미지 개선을 위해 마을회 등과 협의를 거쳐 도내 12개 해수욕장 가운데 중문과 곽지를 제외한 10개 해수욕장에서파라솔 이용 요금을 2만 원에 맞췄습니다. 함덕은 4만 3천 원에 절반 가량, 삼양과 화순 등도 만 원 정도 낮췄습니다. ...
이소현 2024년 07월 18일 -
지난해 아동 재학대 114건‥1년 새 31% 늘어
아동학대 판정을 받고도 다시 학대를 하는 부모가 크게 늘었습니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에 따르면,신고된 아동 학대 가운데 지난해 재학대 사례는 114건으로 1년 전보다 31% 증가했습니다. 피해 유형은 방임이 가장 많았고,피해 대상은 주로 여자 아이와 사춘기 아동들이 많았습니다. 아동 재학대는부모가 가해자인 경우가 ...
이소현 2024년 07월 17일 -
제주-시안, 도쿄 하늘길 재개‥하늘길 확대
제주를 잇는 국제선 하늘길이 확대됩니다. 제주항공이 오늘부터 제주와 중국 시안을 오가는 직항노선을 재개한데 이어, 진에어도 오는 22일 시안 노선을 띄우면서 제주와 시안 직항 노선이 주 4회로 운항됩니다. 또 대한항공도 3년 4개월여 만에 제주-도쿄 직항 노선을 오는 19일부터 주 3회 운항할 계획입니다. 한편, ...
이소현 2024년 07월 16일 -
외국인 관광객 1년 새 4배 급증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1년 새 4배 이상 늘었습니다. 제주도 관광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제주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90만 7천여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또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19년 상반기 외국인 관광객 78만 4천여 명을 뛰어넘었습니다.
이소현 2024년 07월 16일 -
교육+휴가 결합 '런케이션' 본격 추진
제주도가 교육과 휴가를 결합한 '런케이션'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합니다. 런케이션은 배우다의 영어 표현인 런과 방학의 베케이션을 합친 용어로 학점 교류 제도를 활용해 다른지역 대학생이 제주대학교에서 계절학기 학점을 이수하고, 체류비와 거주 공간 등을 지원해 제주에서 교육과 휴가를 함께 하도록 돕는 사업입니...
이소현 2024년 07월 16일 -
관광불편신고센터 개소‥관광 악재 떨쳐낼까
◀ 앵 커 ▶ 최근 비계 삼겹살에 해수욕장 평상 갑질 등으로 제주 관광에 큰 타격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제주도가 관광 대혁신을 하겠다며 제주관광불편신고센터를 열고 운영에 들어갔는데 효과가 있을지 주목됩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올해 상반기 제주를 찾은 내국인 관광객은 595만여 명. 지난해 같은 기간...
이소현 2024년 07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