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리포트) 제주 최초 종계장 준공, 수급 안정될까?
◀ANC▶ 제주는 다른 지역에서 들여온 종란을 부화시켜 농가에서 병아리를 키우다보니 조류독감 같은 전염병이 발생하면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는데요. 제주에 닭고기 생산용 종계장이 문을 열면서, 독자적인 수급과 방역체계를 갖출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
권혁태 2017년 08월 02일 -

(리포트) 제주 최초 종계장 준공, 수급 안정될까?
◀ANC▶ 제주는 다른 지역에서 들여온 종란을 부화시켜 농가에서 병아리를 키우다보니 조류독감 같은 전염병이 발생하면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는데요. 제주에 닭고기 생산용 종계장이 문을 열면서, 독자적인 수급과 방역체계를 갖출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지...
권혁태 2017년 08월 01일 -

제주해녀문화 등재 기념판 제막식
제주해녀문화의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 등재 기념판이 제주시 구좌읍 하도어촌계에 세워졌습니다. 제주도는 오늘 오전 제막식을 열고 제주해녀의 자긍심을 높이고 해녀문화에 대한 관심을 모으기 위해 앞으로 도내 어촌계 102곳에 등재 기념판을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제주해녀문화는 지난해 11월, 에티오피아에...
권혁태 2017년 08월 01일 -

(리포트)물공급 비상
◀ANC▶ 게릴라성 폭우가 일부지역에 집중되고 있지만 대부분 지역에는 폭염과 가뭄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장맛비도 예년보다 적어 수원지 저수량이 급감하고 지하수 수위가 줄면서, 일부 고지대에서는 벌써 물 공급이 끊겼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중산간 일대 물을 공급하는 어승생 수원지...
권혁태 2017년 08월 01일 -

(리포트)물공급 비상
◀ANC▶ 게릴라성 폭우가 일부지역에 집중되고 있지만 대부분 지역에는 폭염과 가뭄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장맛비도 예년보다 적어 수원지 저수량이 급감하고 지하수 수위가 줄면서, 일부 고지대에서는 벌써 물 공급이 끊겼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중산간 일대 물을 공급하는 어승생 수원지....
권혁태 2017년 07월 31일 -

(리포트)마을 미디어, 지역을 살린다.
◀ANC▶ 제주지역에서도 인구 유입과 이주열풍으로 마을 공동체가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데요. 마을 스스로 인터넷 라디오 방송과 신문을 만들면서 소통을 통해 공동체를 복원하려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오랫동안 리사무소로 쓰이던 건물 앞에 색다른 포스터가 붙어있습니다...
권혁태 2017년 07월 31일 -

(리포트)마을 미디어, 지역을 살린다.
◀ANC▶ 제주지역에서도 인구 유입과 이주열풍으로 마을 공동체가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데요. 마을 스스로 인터넷 라디오 방송과 신문을 만들면서 소통을 통해 공동체를 복원하려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오랫동안 리사무소로 쓰이던 건물 앞에 색다른 포스터가 붙어있습니다....
권혁태 2017년 07월 30일 -

SFTS환자 추가 발생, 주의 필요
제주지역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 증후군 SFTS 환자가 추가로 발생했습니다. 제주도는 서귀포시에서 농사를 짓는 64살 여성이 지난 26일부터 발열과 근육통 증상을 보여 검사한 결과 SFTS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올들어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SFTS 환자는 12명으로 지난해의 8명을 이미 뛰어넘었고 이 가운데 3...
권혁태 2017년 07월 28일 -

(리포트)고압선 주의, 안전교육 필요
◀ANC▶ 최근 패러글라이더가 고압선에 걸려 1명이 숨지고 1명이 중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는데요. 비슷한 사고가 예전에도 있었는데, 사람이 전혀 다치지 않았다고 합니다. 고압선 감전사고의 원인과 대처요령을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2만 볼트가 넘는 고압선에 걸린 패러글라이더 지난 25일 한...
권혁태 2017년 07월 28일 -

전력 사용 역대 최고치
폭염이 이어지면서 제주도내 전력사용량이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그제(지난 25일) 오후 2시 최대 사용 전력이 92만 천(kw) 킬로와트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현재 제주지역 최대 전력 공급 가능량은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를 합쳐 106만 킬로와트로 폭염이 지속될 경우 전력 공...
권혁태 2017년 07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