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한국어 IB 교육과정 공교육 공식 도입
한국어 IB 교육과정이 국내 공교육에 공식 도입됩니다. 이석문 제주도교육감과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국제 바칼로레아 한국어화 추진 확정' 기자회견을 열고 IB 한국어화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석문 교육감은 아이들의 미래와 교육 본질을 기반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며 한국어 IB...
김항섭 2019년 04월 18일 -

시민단체, 영리병원 허가 취소 당연
제주영리병원 철회와 원희룡 퇴진 제주도민운동본부는 입장문을 통해 영리병원 허가 취소는 당연한 결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영리병원의 우회투자 논란과 유사의료행위 경험이 없는 점 등 문제점들이 많았는데도 허가를 내준 것 자체가 문제였다며, 앞으로도 법률적 소송이 아닌 비영리병원 전환 등을 통해 문제를 ...
김항섭 2019년 04월 17일 -

(리포트) 제2공항 검토위 재개...도민여론 수렴 중점
◀ANC▶ 제2공항 타당성 재조사 검토위원회가 파행 종료 넉달 만에 다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검토위원회는 제 2공항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해소하고, 도민 여론이 반영된 최종권고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김항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검토보고서도 내지 못하고 지난해 12월 파행으로 종료된 제2공항...
김항섭 2019년 04월 17일 -

한국어 IB 교육과정 공교육 공식 도입
한국어 IB 교육과정이 국내 공교육에 공식 도입됩니다. 이석문 제주도교육감과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국제 바칼로레아 한국어화 추진 확정' 기자회견을 열고 IB 한국어화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석문 교육감은 아이들의 미래와 교육 본질을 기반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며 한국어 IB...
김항섭 2019년 04월 17일 -

투(리포트) 수중쓰레기 악순환 계속
◀ANC▶ 바닷속 쓰레기의 상당 부분이 어선에서 버린 폐어구가 차지합니다. 어민들은 바닷속 폐어구 때문에 폐어구를 또 버릴 수밖에 없다고 하는데요. 김항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항구 한 쪽에 망가진 폐어구들이 잔뜩 쌓여 있습니다. 고기를 잡는 과정에서 거센 물살을 못 이기거나, 바닷 속에 있...
김항섭 2019년 04월 17일 -

녹색당, 세월호 참사 진실 규명 원년 만들어야
제주녹색당은 논평을 통해, 세월호 참사 진상을 규명하는 원년을 만들기 위해, 도민 뜻을 모아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세월호 참사가 있은 지 5년이 지났지만, 참사와 관련된 새로운 사실관계들이 계속 밝혀지고 있다며, 정부가 직접 나서 투명하게 수사하고 책임자를 엄중처벌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김항섭 2019년 04월 16일 -

(리포트) 수중쓰레기 악순환 계속
◀ANC▶ 네, 제주가 온통 쓰레기로 몸살이네요. 어제는 이 시간을 통해 수중 쓰레기 실태를 전해드렸는데요. 배에서 버린 폐어구가 상당 부분을 차지했죠. 어민들은 바닷속 폐어구 때문에 폐어구를 또 버릴 수밖에 없다고 하는데요. 김항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항구 한 쪽에 망가진 폐어구들이 잔뜩 ...
김항섭 2019년 04월 16일 -

(로컬-리포트) 제주바다 쓰레기로 가득
◀ANC▶ 제주 섬이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 바닷속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육지에서 흘러들어 간 생활쓰레기와 어선에서 버린 쓰레기까지 쌓여 해양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제주도 정방폭포 인근의 바다입니다. 수심 10미터 아래로 내려가자, 바닥...
김항섭 2019년 04월 16일 -

(로컬-리포트) 제주바다 쓰레기로 가득
◀ANC▶ 제주 섬이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 바닷속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육지에서 흘러들어 간 생활쓰레기와 어선에서 버린 쓰레기까지 쌓여 해양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제주도 정방폭포 인근의 바다입니다. 수심 10미터 아래로 내려가자, 바닥에...
김항섭 2019년 04월 15일 -

(리포트) 붉바리 양식 전국에서 처음으로 성공
◀ANC▶ 다금바리와 함께 고급 어종에 속하는 붉바리는 횟감으로 인기가 높은데요. 제주에서 국내 최초로 붉바리 양식에 성공했습니다. 김항섭 기자입니다. ◀END▶ ◀VCR▶ 온몸이 붉은색을 띈 물고기들이 수조 안을 힘차게 헤엄칩니다. 쫄깃쫄깃한 식감으로 최고급 횟감으로 꼽히지만 고갈 위기에 있는 어종인 붉바리...
김항섭 2019년 04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