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리포트) 아듀 2016..성산일출축제 성황
◀ANC▶ 다사다난했던 2천16년도 이제 3시간 30분 정도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2017년 새해 첫 해맞이 행사가 열리는 성산일출봉에서는 제24회 성산일출축제가 한창인데요.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김항섭 기자, 그곳 분위기 전해주시죠. ◀END▶ ◀VCR▶ 네, 저는 지금 축제가 열리는 성산일출봉...
김항섭 2016년 12월 31일 -

올해 마지막 주말 촛불 집회
올해 마지막날이자 주말인 오늘도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촛불집회가 열렸습니다. 박근혜 정권 퇴진 제주행동은 오늘 오후 5시부터 제주시청 앞에서 제11차 제주도민 '송박영신' 촛불집회를 개최하고, 박근혜 대통령의 즉각적인 퇴진을 촉구했습니다. 집회에는 학생부터 중장년층까지 다양한 시민들이 참가해 촛...
김항섭 2016년 12월 31일 -

새해 맞이 행사 다채
2016년을 보내고 희망의 2017년 새해를 맞는 다채로운 행사가 이어집니다. 제주시는 오늘 밤 10시 반부터 시청 한얼의 집에서 풍물패 길트기 공연을 시작으로 새벽 0시에 맞춰 시민과 함께 하는 제야의 용고타고 행사를 개최합니다. 또 한라산국립공원 관리사무소는 자정부터 성판악과 관음사 탐방로로 백록담 정상에서 새...
김항섭 2016년 12월 31일 -

공사중이던 게스트하우스 화재...4명 연기 흡입
오늘 새벽 4시 20분쯤 제주시 일도1동 동문로터리 인근 4층 짜리 건물 3층에서 불이 나, 윗층에 있던 54살 조 모 씨 등 일가족 4명이 연기를 마셔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습니다. 소방당국은 내부 공사중이던 3층 게스트하우스에서 불이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화재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또 어젯밤 10시 10분쯤...
김항섭 2016년 12월 31일 -

(리포트) 제2공항 반대 여전
◀ANC▶ 제주 제 2공항 건설 사업은 사전 타당성 용역까지 통과해 내년부터 본격 추진되는데요. 공항 건설에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은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입니다. ◀END▶ ◀VCR▶ 제 2공항 반대 구호가 적힌 깃발을 단 트럭 수 십여 대가 줄 지어 달려갑니다. 공항 예정지인 성산읍 주...
김항섭 2016년 12월 30일 -

60대 여성 화물차에 치여 숨져
어제 오전 7시 10분쯤 서귀포시 강정동 용흥교 인근 일주도로를 건너던 60대 여성이 화물차에 치여 크게 다쳐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 구조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습니다. 경찰은 화물차 운전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경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김항섭 2016년 12월 30일 -

세탁공장 화재...인명피해 없어
오늘 새벽 1시 반쯤 제주시 오라이동의 한 세탁공장에서 불이 나 내부 375제곱미터와 세탁기계 등을 태운 뒤 30분 만에 진화됐습니다. 화재 당시 공장 안에 아무도 없어 인명피해는 없었고, 소방당국은 세탁건조기에서 불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김항섭 2016년 12월 30일 -

(리포트) 제2공항 반대 여전
◀ANC▶ 제주 제 2공항 건설 사업은 사전 타당성 용역까지 통과해 내년부터 본격 추진되는데요. 공항 건설에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은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입니다. ◀END▶ ◀VCR▶ 제 2공항 반대 구호가 적힌 깃발을 단 트럭 수 십여 대가 줄 지어 달려갑니다. 공항 예정지인 성산읍 주민...
김항섭 2016년 12월 29일 -

(리포트) 저가 항공사 말썽 잇따라
◀ANC▶ 최근 저가 항공사들이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요. 승객들이 늘어나는 만큼 서비스 품질도 높아져야 하는데 아직까지 운영은 미숙해 불만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최근 승객 180여 명을 태우고 김포공항에서 제주로 오려던 제주항공 항공기가 갑...
김항섭 2016년 12월 29일 -

하수 무단 방류 원인 밝혀야
제주참여환경연대는 논평을 내고 제주하수처리장에서 지난 26일 하수가 바다로 무단 방류된 것과 관련해 제주도의 명확한 해명을 촉구했습니다. 참여환경연대는 제주도는 지난 10년 동안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하수관거 정비사업을 진행했지만 효과가 의심스럽다며 내년부터 하수도 이용료를 왜 인상하는지도 명확히 밝혀...
김항섭 2016년 12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