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리포트)세월호, 해군기지 철근 278톤 적재
◀ANC▶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배 안에 제주 해군기지 공사장으로 향하던 철근 수백톤이 실려있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사고 원인을 놓고 논란이 커지게 됐습니다. 김찬년 기자입니다. ◀END▶ ◀VCR▶ 세월호가 제주로 출항하기 전 승인받은 화물적재량은 987톤 실제로는 두배 이상 많은 2천 215톤을 실려있었다는 ...
김찬년 2016년 06월 28일 -

채용 청탁 항운노조 위원장 집행유예
제주지방법원 허일승 부장 판사는 금품을 받고 조합원을 채용한 혐의로 기소된 제주항운노조위원장 60살 전 모 씨에 대해 징역 1년에 집행 유예 2년을 채용을 청탁한 54살 박 모 씨에게는 벌금 3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 전씨는 지난 2천 10년 박씨로부터 처남을 채용해달라는 청탁을 받고 싯가 690만 원 어치의 수석과 분...
김찬년 2016년 06월 28일 -

(아침 리포트) 특별자치도 10년... 성과와 한계는?
◀ANC▶ 다음달 1일이면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10주년을 맞게 되는데요. 우리나라 지방자치에 획기적인 장을 열었다는 평가와 함께 도민들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김찬년 기자입니다. ◀END▶ ◀VCR▶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방분권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며 출범한 제주특별자치도. 정부는...
김찬년 2016년 06월 28일 -

(아침)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무기한 단식 농성 돌입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파업을 중단하고 무기한 단식 농성을 시작했습니다. 제주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어제 제주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합원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릴레이 단식농성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연대회의는 교육청이 직종간 차별을 조장하고 노조의 요구를 무시하면 다음달초에 2...
김찬년 2016년 06월 28일 -

집단 설사 증세 원인은 병원성 대장균
지난달 제주시내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집단 설사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설사 증상을 보인 47명 가운데 30명의 가검물에서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됐지만 학교 급식에서는 식중독균이 검출되지 않아 정확한 감염 경로는 알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학교측은 급...
김찬년 2016년 06월 28일 -

(리포트) 특별자치도 10년... 성과와 한계는?
◀ANC▶ 다음달 1일이면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10주년을 맞게 되는데요. 우리나라 지방자치에 획기적인 장을 열었다는 평가와 함께 도민들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엇갈리고 있는데요. 특별자치도 10년을 정리하는 기획 뉴스, 오늘은 첫 순서로 그 동안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봅니다. 김찬년 기자입니다. ◀END...
김찬년 2016년 06월 27일 -

장맛비 다시 시작...수요일까지 계속
제주지방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곳에 따라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라산 윗세오름에 24.5밀리미터의 비가 내렸고, 서귀포 18.1, 제주시 6.7밀리미터의 강수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늘 낮 최고기온은 제주시가 22.5도, 서귀포시가 21.1도에 머물며 어제보다 5도 이상 떨어졌습니다. 이번 장맛비는 수요일 밤...
김찬년 2016년 06월 27일 -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무기한 단식 농성 돌입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파업을 중단하고 무기한 단식 농성을 시작했습니다. 제주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오늘 제주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합원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릴레이 단식농성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연대회의는 교육청이 직종간 차별을 조장하고 노조의 요구를 무시하면 다음달초에 2...
김찬년 2016년 06월 27일 -

집단 설사 증세 원인은 병원성 대장균
지난달 제주시내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집단 설사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설사 증상을 보인 47명 가운데 30명의 가검물에서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됐지만 학교 급식에서는 식중독균이 검출되지 않아 정확한 감염 경로는 알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학교측은 급...
김찬년 2016년 06월 27일 -

(리포트) 한국전쟁 속 제주
◀ANC▶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어느새 66주년을 맞았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첫 육군훈련소가 제주에 자리했었는데요. 지금은 흔적조차 찾아보기 어려워졌지만, 한 전직교사가 수십 년에 걸쳐 모은 사진자료가 그 시절 모습들을 생생히 전하고 있습니다. 김찬년 기자입니다. ◀END▶ ◀VCR▶ 한국전쟁 당시 장병 50만 명...
김찬년 2016년 06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