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제주도가 중국 칭다오를 오가는
신규 해운 항로 개설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해양수산부의
항로 개설 허가를 받지 못하면서
하역 장비 임대료와 관리비 수억 원을
날리게 될 처지에 놓였습니다.
박주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제주항 10부두에
설치된 커다란 대형 크레인.
배에 선적된 20피트 이상의 대형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장비로 제주와 중국 칭다오
신규 해운 항로 취항을 앞두고
도입됐습니다.
(S/U) "하지만,
신규 항로 개설이 미뤄지면서
이 크레인은 이용도 못한 채
두 달 가까이 방치되고 있습니다."
당초 제주도는
중국 선사와 협정을 맺고 지난해 12월 20일에 칭다오 항에서 취항식을 열기로 했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해양수산부로부터 항로 개설에 대한 허가를 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 크레인을 임대하고
녹슬지 않도록 관리하는데 드는 비용은
한 달에 1억 원.
제주도가 하역 업체에
고스란히 지불해야 합니다.
제주도는
신규 항로 개설을 위해서는
장비 사전 도입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입니다.
◀INT▶ 신용만 제주도 해운항만과장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는 하역 장비가 없기 때문에 일단 하역 장비를 처리할 수 있는 하역 선사를 선정해야 하고 육지에 있는 하역 장비를 제주도에 도입을 해야 합니다. 그런 시간을 감안해서 (사전에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신규 항로 개설 허가가
언제 날지는 알 수 없는 상황.
[ CG ] 해양수산부는
제주-칭다오 신규 항로 개설이
다른 항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영향 평가를 진행 중이라며
결과를 토대로 허가 여부를 결정하겠다면서도
구체적인 일정을 밝힐 수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CG ]
대통령 탄핵 사태 속에 해수부의 결정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 실제 취항이 이뤄질 수
있을지도 미지수여서 장비 임대비와 관리 비용의 압박은 점차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MBC 뉴스 박주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