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희망 2022 나눔 캠페인 성금(1/20 목)
다음은 희망 2022, 나눔캠페인 성금을 보내주신 분들입니다. ------------ 대정읍 제주구제클럽 우상일 30만 원 서귀포시 신협 산악회 회장 현성희 외 회원일동 50만 원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카트체험장 20만 원 을 보내주셨습니다. ------------- 성금을 맡기실 분은 이달 말까지 제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 문의하시거나 ...
홍수현 2022년 01월 21일 -

장정애 제주주권연구소 이사장, 도지사 출마 선언
장정애 제주주권연구소 이사장은 제주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 자연과 공동체 회복을 위해 오는 6월 지방선거 제주도지사 후보로 출마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장정애 이사장은 제주와 육지를 잇는 해저철도 개설과 1차 산업 안정화, 국제문화도시 건설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습니다.
홍수현 2022년 01월 21일 -

한라산 오름 정상에 레이더…법률 자문
환경 훼손 논란 등으로 중단된 제주 남부지역 항공로 레이더 구축 사업에 대해 제주도가 법률 검토에 들어갔습니다. 제주도는 건축 행위 허가권자인 제주도가 스스로 허가를 취소할 수 있는지와 건설 부지를 옮길 경우 발생하는 비용을 제주도가 부담하는 것이 타당한지 법률 자문을 의뢰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국토교통...
홍수현 2022년 01월 21일 -

희망 2022 나눔 캠페인 성금(1/20 목)
다음은 희망 2022, 나눔캠페인 성금을 보내주신 분들입니다. ------------ 대정읍 제주구제클럽 우상일 30만 원 서귀포시 신협 산악회 회장 현성희 외 회원일동 50만 원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카트체험장 20만 원 을 보내주셨습니다. ------------- 성금을 맡기실 분은 이달 말까지 제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 문의하시거나 ...
홍수현 2022년 01월 20일 -

장정애 제주주권연구소 이사장, 도지사 출마 선언
장정애 제주주권연구소 이사장은 제주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 자연과 공동체 회복을 위해 오는 6월 지방선거 제주도지사 후보로 출마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장정애 이사장은 제주와 육지를 잇는 해저철도 개설과 1차 산업 안정화, 국제문화도시 건설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습니다.
홍수현 2022년 01월 20일 -

시민단체, 대선후보에 지방분권 공약 촉구
지방분권 제주도민 행동본부는 제주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방분권 추진 의지와 역량, 소통 능력을 갖춘 대통령을 원한다며 대선 후보들에게 지방분권 관련 공약을 채택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차기 정부 임기 안에 지방분권 개헌을 추진하고, 제주의 고도 자치권을 보장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추진과 청와대 분...
홍수현 2022년 01월 20일 -

희망2022 나눔캠페인 성금(1/19 수)
다음은 희망 2022, 나눔캠페인 성금을 보내주신 분들입니다. ------------ 아라초 최보민, 최보현 12만 9천 원 애월읍 김응수 10만 원 제주중앙여중 강세희 외 5인 2만 원 을 보내주셨습니다. ------------- 성금을 맡기실 분은 이달 말까지 제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 문의하시거나 제주은행이나 농협 계좌로 보내주시면 됩...
홍수현 2022년 01월 20일 -

제주 사랑의 온도탑 모금 50일 만에 100도 돌
제주 사랑의 온도탑 수은주가 캠페인 시작 50일 만에 100도를 넘어섰습니다. 제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2022 나눔 캠페인 모금액이 목표액 38억 8천만 원을 넘어 38억 9천 여 만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성금 모금은 오는 31일까지 계속되며, 폐막식은 다음달 3일 제주도청에서 열립니다.
홍수현 2022년 01월 20일 -

평화로 진입로 개설 특혜 논란…교통영향분석 조사
평화로 주변 휴게음식점 건물 진입로 개설 특혜 논란과 관련해 교통영향 조사가 실시됩니다. 제주도는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 부근 평화로에서 업체 건물로 진입하는 도로 개설을 허가한 것과 관련해 한국교통안전공단 등에 맡겨 교통영향분석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해당 도로에서 직접 연결되는 진입로 개설이 허...
홍수현 2022년 01월 20일 -

올해부터 다자녀 기준 2자녀로…교육복지 확대
제주도교육청은 올해부터 다자녀 가정 기준을 3자녀 이상에서 2자녀 이상으로 완화하고, 교육 예산 가운데 12%인 천594억 원을 복지사업에 투입해 지원을 확대합니다. 이에 따라 방과후 자유수강권과 고교 저녁 급식비 등 지원 대상을 2자녀 가정 둘째 자녀로 확대하고, 저소득층과 다자녀가정 자녀에게만 지원하던 졸업앨...
홍수현 2022년 01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