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제주 제2공항 상생발전 용역 추진 논란
제주도가 제주 제2공항 건설을 전제로 도민이익 상생발전 용역을 추진해 논란이 예상됩니다. 제주도는 제2공항과 연계한 도민이익과 상생발전 기본계획 보완 용역 발주 계획을 나라장터에 공개했습니다. 이번 용역은 2억 8천여 만 원을 들여 지난 2019년 진행한 상생발전 용역을 보완하고 제2공항 주변 지역의 개발 계획을 ...
송원일 2025년 02월 12일 -
가칭 동부특수학교 축소 설립 추진
제주시 조천읍 송당리에 새로 짓는 특수학교의 규모가 축소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가칭 제주동부특수학교 설립 계획이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에서 재검토 결정이 내려졌다며 규모를 축소해 특수학교 분교장 형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당초 사업비 390억 원을 들여 11개 학급, 84명 정원으로 지으려던 계획...
송원일 2025년 02월 12일 -
올해 제주대 의대 졸업생 1명 뿐
의정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올해 제주대 의과대학 졸업생이 1명에 그쳤습니다. 제주대에 따르면 오는 19일 졸업식이 열릴 예정인 가운데 지난해 의대생들의 집단휴학으로 올해 의대 졸업생은 1명에 그쳤습니다. 제주대는 지난해 의대 재학생 248명 가운데 80%가 넘는 204명이 집단 휴학한 가운데 다음달 개강을 앞두고 휴...
송원일 2025년 02월 11일 -
노동당 제주도당 "버스요금 인상 즉각 중단해야"
노동당 제주도당이 제주도의 버스요금 인상 검토에 대해 즉각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제주도가 지난해 버스 대수를 줄이고 노선을 개편하면서 발생한 문제점은 도외시하고 도민에게 요금을 더 부담하라는 것은 정책의 잘못을 도민에게 떠넘기는 무책임한 대책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한 달도 안 되는 공론화 기간을 ...
송원일 2025년 02월 11일 -
꽃샘추위 기승..항공기 운항 재개
◀ 앵 커 ▶ 주말인 오늘 제주는 대설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해안지역에도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 아침 최저기온도 영하로 떨어지면서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렸습니다. 그러나 어제 300여 편이 결항됐던 제주공항은 오늘 정상을 되찾았습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제주 섬이 새하얀 설국으로 바뀌었습니다....
송원일 2025년 02월 08일 -
폭설 강풍 피해 잇따라
폭설과 강풍으로 각종 사고가 잇따랐습니다. 어젯밤 10시쯤 서귀포시 동홍동에서 내리막 도로를 달리던 공영버스가 눈길에 미끄러져 도로를 벗어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오늘 오전 8시쯤에는 제주시 해안동에서 눈길에 미끄러진 차량이 전복돼 운전자가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또 오늘 낮 12시쯤에는 제주시 한림...
송원일 2025년 02월 08일 -
올 상반기 전기차 4천500대 보급
제주도가 올 상반기에 전기차 4천500대를 보급하기로 하고 오는 7월 말까지 신청을 받습니다. 차종별로는 승용차 3천 대와 화물차 천500대로 올해 연간 보급 목표는 모두 6천여 대입니다. 제주도는 전기차 국비 보조금이 승용차는 최대 70만 원, 화물차는 50만 원 감액됐으나 도비 보조금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승용차는 400...
송원일 2025년 02월 07일 -
외국인 관광객 홍역 확진‥5년 만에 발생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홍역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제주도는 지난 1일 베트남에서 온 외국인 관광객 1명이 홍역 의심증상이 있어 검사한 결과 어제(6일) 저녁 양성 판정을 받았다며 환자의 동선과 접촉자 등에 관한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홍역은 제2급 감염병으로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전파되는데 발열...
송원일 2025년 02월 07일 -
대설·강풍·풍랑특보 재난안전 주의 당부
제주도는 대설과 강풍, 풍랑특보에 따른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하고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제주도는 모레(9일)까지 많은 눈과 강한 바람이 예상된다며 차량 이용시 원동장비를 갖추고 축사와 비닐하우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사전 점검을 당부했습니다. 또 강풍에 현수막과 간판이 날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키고, 한파에 따...
송원일 2025년 02월 07일 -
제주시, 위기가구 신고자에게 포상금 지급
제주시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위기가구를 발굴한 사람에게 포상금을 지급합니다. 신고 대상은 소득이 없거나 위기상황으로 도움이 필요한 비수급 가구인데 제주도민이면 누구나 신고할 수 있습니다. 제주시는 위기가구로 신고된 대상자가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되면 신고자에게 1건에 5만 원씩 30만 원 한도에서 ...
송원일 2025년 02월 0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