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신화월드 카지노 노조 임금 인상 요구‥파업 선언
제주신화월드 카지노 노동조합이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을 선언했습니다. 노조는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사측이 3% 임금 인상을 제시한 건 물가인상율을 고려하면 동결이나 임금 삭감과 마찬가지라며 9월 중에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카지노측은 코로나19 사태로 대규모 적자가 발...
조인호 2025년 09월 08일 -

소방본부, 추석 명절 대비 화재예방대책 추진
제주도 소방안전본부는 추석 명절 대비 화재예방대책을 다음달 12일까지 추진합니다. 대형마트와 숙박시설 등 다중이용시설 143곳에 불시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하고, 전통시장 25곳은 유관기관과 합동점검하며 요양원은 소방서장이 방문해 안전컨설팅을 진행합니다. 최근 5년간 추석 연휴기간 제주에서는 화재 23건이 발...
조인호 2025년 09월 08일 -

제주 농업기술원, 재래종보다 우수한 제주 쪽파 개발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재래종보다 우수한 제주 쪽파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제주 쪽파는 올해 시험재배한 결과 재래종인 무안 쪽파보다 생산량이 60% 이상 많았고 상품성이 좋아 가격도 30% 가까이 높았습니다. 농업기술원은 최근 제주시 구좌읍의 농가 6곳에 제주 쪽파 씨앗을 보급했고, 내년 5월에 수확될 예정입니...
조인호 2025년 09월 07일 -

올해 제주 황사 관측일수 1일‥최근 10년 최저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제주지역 황사 관측일수가 1일로 최근 10년 동안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에는 황사가 9일 관측됐고 최근 10년 동안 가장 적었던 2020년과 2022년에는 3일 관측됐습니다. 올해 전국적으로는 황사가 9일 관측됐고 서울이 6일, 인천과 부산은 2일 관측됐는데 제주는 전국 ...
조인호 2025년 09월 07일 -

도의회, 한국공항 지하수 증산 허가 12일 심사
제주도의회가 한진그룹 계열사인 한국공항의 지하수 증산 허가를 오는 12일 심사합니다. 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는 12일 제주도가 제출한 한국공항의 지하수 취수량을 하루에 100톤에서 146톤으로 늘리는 변경허가 동의안을 심사합니다. 한국공항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으로 기내용 생수 수요가 늘었다며 ...
조인호 2025년 09월 07일 -

제주-중국 칭다오 화물선 10월 18일 취항
제주와 중국 칭다오를 잇는 국제 화물선이 다음달에 취항한다. 제주도는 화물선이 다음달 16일 칭다오항을 처음으로 출항해 18일 제주항에 입항하며 29일부터 정기운항한다고 밝혔습니다. 제주항에 국제 화물선이 취항하는 것은 1968년 무역항 지정 이후 57년 만에 처음입니다. 제주도는 기존의 부산항을 경유하는 항로...
조인호 2025년 09월 07일 -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사증 입국 전국 확대
제주지역에만 허용됐던 중국인 관광객의 무사증 입국이 전국적으로 확대됩니다. 정부는 오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국내외 전담 여행사가 모객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해 최장 15일간 비자 없이 우리나라 전역을 여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제주도는 기존과 동일하게 최장 30일간 비자 없...
조인호 2025년 09월 07일 -

제주시 낮 기온 34.9도‥서귀포 열대야 65일째
제주 동부에 폭염경보, 나머지 지역에는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제주시의 낮 최고기온이 34.9도, 서귀포시는 32.8도까지 오르는 무더운 날씨를 보였습니다. 오늘 아침 최저기온은 제주시 28도, 서귀포시 28.4도를 기록하면서 25도를 웃돌아 제주시는 올여름들어 62일째, 서귀포는 65일째 열대야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조인호 2025년 09월 07일 -

제주서 '노쇼사기' 50건 발생‥검거는 0건
제주에서도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사칭한 허위 전화주문, 노쇼 사기가 잇따르고 있지만 범인은 한명도 잡히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이 경찰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들어 제주에서는 노쇼사기 50건이 발생했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피해액은 3억원이었습니다. 하지만, 범인은 한 명도 잡...
조인호 2025년 09월 06일 -

제주 임산부 또 헬기로 다른 지방으로 이송
제주에 신생아 중환자실 병상이 부족해 임산부가 다른 지역으로 이송되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제주도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어제 30대 임산부가 단백뇨 증상으로 제주대학교 병원 응급실을 찾았지만 신생아 중환자실에 병상이 없어 소방헬기로 대구 가톨릭대학교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제주지역에는 제주대병원에...
조인호 2025년 09월 0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