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제주 바다 수온 높아지면 갈치 어획량 줄어
제주 바다의 수온이 높아지면 갈치 어획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8월에 갈치가 주로 잡히는 수심 20미터의 수온이 27도에서 29도로 높아지면 어장이 약화되거나 분산돼 어획량이 줄었고 21도에서 23도일때 어장이 뚜렷하게 형성돼 어획량이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갈치어획량은 2008년 만 2천...
조인호 2025년 08월 20일 -
사찰 불전함에서 시줏돈 훔친 40대 구속
사찰을 돌며 시준돈을 훔친 40대 남성이 경찰에 구속됐습니다. 서귀포경찰서는 지난달 31일부터 지난 6일까지 도내 사찰 4곳에 몰래 들어가 현금 250만 원을 훔친 혐의로 40대 남성을 구속해 검찰에 넘겼습니다. 이 남성은 경찰 조사 결과 절도죄로 교도소에 수감됐다가 지난달 출소한 뒤 인터넷에서 유명사찰을 검색해 범...
조인호 2025년 08월 19일 -
20억 원대 다가구 전세보증금 떼먹은 부자 기소
제주지방검찰청은 20억 원대의 전세보증금을 떼먹은 혐의로 다가구주택 건물주의 아들인 40대 남성을 구속 기소하고 70대 남성 건물주를 불구속 기소했습니다. 이들은 서귀포시 안덕면과 강정동에 다가구주택을 지은 뒤 세입자 28명의 임대기간이 끝났는데도 전세보증금 21억 원을 돌려주지 않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
조인호 2025년 08월 19일 -
학교 영양사 폐암 첫 산업재해 인정 판결
학교 급식실에서 근무하다 폐암에 걸린 영양사에게 처음으로 산업재해를 인정하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서울행정법원 문지용 판사는 1997년부터 제주의 한 학교 급식실에서 근무한 뒤 폐암진단을 받은 영양사에게 근로복지공단이 요양 급여를 주라고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영양사가 24년 동안 조리를 직접 하거나 감독하면...
조인호 2025년 08월 19일 -
기록적 폭염에도 7월 화재는 23% 감소
기록적인 폭염 속에서도 화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화재는 41건으로 지난해 7월보다 23%, 전기적 요인 화재는 15건으로 10% 줄었습니다. 소방본부는 여름철에는 전기와 에어컨 과부하로 화재 위험이 높다며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 플러그를 뽑고 멀티탭을 문어발식으로 사...
조인호 2025년 08월 19일 -
제주신화월드 드림타워 에너지 사용량 많아
제주지역 건물 가운데 제주신화월드와 드림타워의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은 지난해 제주신화월드의 에너지사용량은 만 6천678 석유환산톤으로 재작년보다 천181톤이 늘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드림타워의 에너지사용량도 만 5천873 석유환산톤으로...
조인호 2025년 08월 19일 -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농협직원 감사장 수여
제주지방경찰청은 보이스피싱 피해를 사전에 예방한 조천농협 본점 직원 2명에게 감사장과 함께 포상금을 수여했습니다. 이들은 지난 6일 보이스피싱에 속은 피해자가 검사에게 자기 재산을 검수 받으려면 3억 원을 이체해야 한다며 이체한도를 5억원으로 높여달라고 요청하자 텔레그램 대화 내역을 확인한 뒤 112에 신고해...
조인호 2025년 08월 18일 -
제주대 의대 오늘 개강...1년 반 만에 정상화
의대 증원 갈등으로 수업이 파행을 빚었던 제주대 의과대학이 1년 반 만에 정상화됐습니다. 제주대 의대는 오늘부터 2학기 수업을 개강했고, 당분간 비대면 온라인 수업 중심으로 진행한 뒤 대면 수업을 늘려나갈 예정입니다. 제주대 의대생의 절반 이상은 1학기 수업을 듣지 않아 유급될 위기에 처했는데, 2학기 수업을 먼...
조인호 2025년 08월 18일 -
"교육활동 보호강화정책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제주교사노동조합은 교육활동 보호강화정책을 제주도교육청이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교육활동 보호와 학교 민원대응을 학교와 교장 평가에 반영하고 교육활동보호센터를 강화하기 위해 전문직을 충원하라고 요구했습니다. 또, 교육활동 침해 특별휴가를 위해 보결교사를 지원하고 학교 내 형사...
조인호 2025년 08월 15일 -
[광복80년 기획]③ 일본에 빼앗긴 제주의 종‥복원할 수 있을까?
◀ 앵 커 ▶ 조선시대 제주목관아에 걸려있던 종을 일본에 빼앗기면서 제주에서는 제야의 종소리가 울리지 않게 됐습니다. 잃어버린 제주의 종을 어떻게 복원할 것인지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양한 논의가 시작됐습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종소리---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웅장한 종소리가 울려퍼집...
조인호 2025년 08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