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절물자연휴양림 주차료·숙박요금 인상
제주시 절물자연휴양림의 주차료와 숙박요금이 다음달 1일부터 인상됩니다. 주차요금은 소형차가 천원에서 천 500원으로, 중형차가 2천원에서 3천원으로 대형차는 3천원에서 5천원으로 오릅니다. 숲속의 집 산림문화휴양관 숙박요금도 크기에 따라 4만원에서 21만 4천원까지 기존 요금보다 10% 가량 오릅니다.
조인호 2020년 08월 18일 -

경제단체 "드림타워 카지노 적합 결정 환영"
제주상공회의소와 제주도관광협회 등 도내 경제단체들은 입장문을 내고 제주도가 드림타워 카지노 영향평가 심의에서 적합 판정을 내린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외국인 관광객 유치와 고용창출 등 지역경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기대감이 크다며 도의회 의견청취와 카지노감독위원회 의견...
조인호 2020년 08월 17일 -

물놀이하다 먼 바다로 떠밀려간 어린이 구조
어제 오후 2시 10분쯤 제주시 구좌읍 세화 해변에서 물놀이를 하던 9살 여자 어린이가 튜브에 타고 있다 바다로 떠밀려갔다는 신고가 해경에 접수됐습니다. 해경은 세화해변에서 북쪽으로 100미터 떨어진 바다에서 어린이를 구조해 보호자에게 인계했는데 최근 남풍에 의해 먼 바다로 밀려가는 경우가 많다며 주의를 당부...
조인호 2020년 08월 17일 -

항포구에서 '위험한 물놀이' 적발 잇따라
폭염이 계속되면서 해수욕장이 아닌 항포구에서 물놀이를 하다 적발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제주해양경찰서는 어제 오후 제주시 용담과 사수, 한림 용운동과 도두 백포포구에서 물놀이를 하던 52명을 적발해 귀가시켰다고 밝혔습니다. 해경은 위험한 항포구에서 물놀이를 하는 제주도민이 늘면서 관광객들도 동...
조인호 2020년 08월 17일 -

'직장내 괴롭힘' 제주공항 경비대원 산재인정
제주공항에서 직장 내 괴롭힘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은 특수경비대원이 산업재해를 인정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민주노총 제주본부는 2천 18년 사망한 고 김동희씨의 유족들이 근로복지공단의 산업재해 불승인 판정에 불복해 청구한 재심사가 받아들여졌다는 통보를 최근 공단측으로부터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김씨의 유족...
조인호 2020년 08월 17일 -

어민들이 맡긴 미끼 빼돌린 수협직원 벌금형
제주지방검찰청은 어민들이 맡긴 미끼를 빼돌린 혐의로 전 한림수협 직원 고 모씨를 벌금 100만원에 약식기소했습니다. 고씨는 수협 냉동창고를 관리하다 지난해 1월부터 3월까지 어민들이 맡긴 꼴뚜기 미끼 47상자 300여 만원 어치를 빼돌려 마음대로 처분한 혐의를 받고 있는데, 최근 수협에서 해임됐습니다.
조인호 2020년 08월 17일 -

제주시 올레길·빈터에서 폐기물 788톤 발견
제주시는 지난달 올레길과 빈터, 야산에 버려진 폐기물을 조사한 결과 54군데에서 788톤의 폐기물이 방치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제주시는 지난해에도 천 125톤, 올해 상반기에도 544톤의 방치된 폐기물을 수거했고, 이번에 발견된 폐기물을 수거하려면 2억 8천 600만원이 쓰일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한편 제주...
조인호 2020년 08월 17일 -

서귀포 아랑조을거리에 주차공간 늘린다
서귀포의 대표적 음식거리로 꼽히는 아랑조을거리에 주차공간이 늘어납니다. 서귀포시는 최근 아랑조을거리에 공한지 무료주차장 71면을 조성한데 이어 현재 운영중인 공영주차장도 내년에 3층 4단 139면으로 복층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렇게 되면, 아랑조을거리 인근 주차장은 현재의 575면에서 748면으로 늘어납니다....
조인호 2020년 08월 17일 -

절물자연휴양림 주차료·숙박요금 인상
제주시 절물자연휴양림의 주차료와 숙박요금이 다음달 1일부터 인상됩니다. 주차요금은 소형차가 천원에서 천 500원으로, 중형차가 2천원에서 3천원으로 대형차는 3천원에서 5천원으로 오릅니다. 숲속의 집 산림문화휴양관 숙박요금도 크기에 따라 4만원에서 21만 4천원까지 기존 요금보다 10% 가량 오릅니다.
조인호 2020년 08월 17일 -

제주, 내년 6월까지 소라 총허용어획량 1천879t 확정
제주도는 소라 자원 보호를 위해 올해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총허용어획량을 천 879톤으로 확정하고, 6개 지구별 수협에 배분했습니다. 또한, 소라 소비촉진과 내수 확대를 위해 총허용어획량 중 30%를 내수용으로 배정했습니다. 제주도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소라 자원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1991년부터 총허용어획량 ...
조인호 2020년 08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