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블록체인 기반 제주형 안심코드 출시
제주형 전자출입명부인 제주 안심코드가 오늘부터 가동됐습니다. 제주 안심코드는 이용자가 스마트폰에 다운받아 가입한 뒤 방문 업소의 QR코드를 찍으면 출입을 인증할 수 있는 전자출입명부로, 사업자등록 관리시스템과 연동돼 방문 이력을 신속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안심코드는 업장마다 매장 고유의 QR코드를 찍는...
김찬년 2020년 12월 21일 -

제주에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전담기관 설치
제주에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를 위한 전담기관이 설치됩니다. 제주도는 2021년 정부 공모에 최종 선정돼 예산 8천400만 원을 지원받아 내년에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를 위한 지역특화상담소를 설치한다고 밝혔습니다. 지역특화 상담소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에 대한 최초 신고 접수와 상담을 지원하고, 의료비와 무료 법률지...
김찬년 2020년 12월 20일 -

사우나발 집단감염 비상 '빠르게 확산'
◀ANC▶ 지역사회 내 감염이빠르게 확산되는 모양새입니다. 사우나를 기점으로확진자가 급증하는 등소규모 집단감염이 빠르게 늘면서누적 확진자는 200명을 훌쩍 넘겼습니다. 김찬년 기자입니다. ◀END▶ ◀VCR▶ 방역 요원들이 사우나 건물 안으로 들어갑니다. 지난 16일 오전, 확진자가 이 곳을 다녀간 것으로 확인되...
김찬년 2020년 12월 19일 -

거리두기2단계 격상…"도민들 방역 수칙 준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상향 첫날, 대부분의 상가에서 방역수칙을 준수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제주도는 시행 첫 날인 어젯밤 9시부터 합동 점검반 200여 명을 구성해 제주시청 대학로와 누웨모루거리 등을 집중 점검한 결과 편의점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소가 밤 9시 이후 영업을 종료하는 등 방역 수칙을 준수했다고 ...
김찬년 2020년 12월 19일 -

거리두기 2단계 +α
◀ANC▶ 소모임을 통한 지역사회 감염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제주도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 격상에서플러스 알파 수준으로 더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감염 확산으로 진단 검사 수요는 폭증하는데,병원 선별진료소는 낮에만 운영되다보니확진자 판단이 늦어지고 적절한 방역 시기도 놓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김찬년 2020년 12월 18일 -

제2첨단과기단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
제2첨단과학기술단지 일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모레(20일) 해제됩니다. 지정 해제에 따라 해당 지역 토지는 허가없이 거래가 가능하며, 전매나 임대도 가능해집니다. 제주도는 지난 2015년, 제2첨단과기단지 조성사업에 따른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해 제주시 월평동과 아라동 일대 100만 제곱미터를 토지거래허가구역...
김찬년 2020년 12월 18일 -

제주시 감귤 서귀포산으로 속인 업자 7명 적발
감귤 원산지를 속여 판매한 유통업자들이 잇따라 적발됐습니다. 제주도자치경찰단은 지난 10월부터 한 달 동안 제주시에서 생산된 극조생 감귤 만 8천 여 상자를 서귀포산으로 속여 인터넷 쇼핑 등으로 판매한 혐의로 모 유통업체 대표인 40살 A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나머지 업체 대표 등 6명을 입건했습니다. 또...
김찬년 2020년 12월 18일 -

거리두기 2단계 격상
◀ANC▶ 오늘 0시부터 제주지역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상향됐습니다. 당초 함께 실시가 검토됐던 제주 방문객에 대한 검사 의무화는 정부와의 협의가 필요해 도입이 늦춰졌습니다. 김찬년 기자입니다. ◀END▶ ◀VCR▶ 집단 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성당과 교회. 그동안 거리두기 1.5단계에서는 인원 수 제한만 지...
김찬년 2020년 12월 18일 -

확진자 70명 발생 가짜 뉴스 확산…수사 의뢰
부민장례식장에서 확진자 70명이 나왔다는 가짜뉴스가 SNS 등에서 급속히 확산되자 제주도가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제주도는 어제부터 SNS 등을 통해 퍼지고 있는 부민장례식장에서 70명에 달하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지만 드림타워 개장 때문에 방역당국이 쉬쉬하고 있다는 내용은 허위사실이라고 밝혔습니다. ...
김찬년 2020년 12월 18일 -

제주 전세버스업체 3차 제주형 재난지원금 지급
도내 전세버스업체에 3차 제주형 재난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지원 대상은 도내 52개 전세버스 업체로 오는 22일까지 버스 1대당 100만 원씩 지급되며 정부재난지원금을 받거,나 본사가 제주에 있더라도 다른지역에 있는 영업소는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도내 전세버스 업체들은 코로나19 여파로 단체 관광객이 줄면서 12월 ...
김찬년 2020년 12월 18일